퍼셉트론(Perceptron)이란?
퍼셉트론(Perceptron)
은 단순한 형태의 인공 뉴런 모델로, 입력 신호에 대한 결과를 0과 1 중 하나로 출력합니다.
1. 퍼셉트론의 구조
퍼셉트론은 다른 인공뉴런과 마찬가지로 입력
, 가중치
, 편향
, 활성화 함수
, 출력
으로 구성됩니다.
퍼셉트론은 입력값과 가중치를 곱한 합에 편향을 더한 후, 활성화 함수를 적용하여 출력값을 계산합니다.
퍼셉트론의 동작 방식은 아래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합니다.
- : 입력값
- : 가중치
- : 편향
- : 활성화 함수
- : 출력값
2. 퍼셉트론의 동작 방식
퍼셉트론은 주어진 입력값과 가중치를 곱한 합이 특정 임계값을 넘으면 1(참, 활성화)
을 출력하고, 그렇지 않으면 0(거짓, 비활성화)
을 출력합니다.
이렇게 결과가 두 가지 값(예: 참/거짓, 0/1) 중 하나로 나오는 방식을 이진 분류(Binary Classification)
라고 하며, 1개의 층으로 이진 분류를 수행하는 퍼셉트론을 단층 퍼셉트론
이라고 합니다.
단층 퍼셉트론을 사용하면 두 개의 입력 값을 비교하는 간단한 규칙을 만들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아래 퍼셉트론은 두 개의 입력값이 모두 1(참)일 때만 1
을 출력하고, 나머지 경우에는 0
을 출력합니다.
입력 값 1 () | 입력 값 2 () | 출력값 () |
---|---|---|
0 | 0 | 0 |
0 | 1 | 0 |
1 | 0 | 0 |
1 | 1 | 1 |
위와 같이 모든 입력값이 1일 때만 출력값이 1이 되는 규칙을 AND 연산
이라고 합니다.
이번에는 두 개의 입력값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
이 되는 퍼셉트론을 생각해보겠습니다.
입력 값 1 () | 입력 값 2 () | 출력값 () |
---|---|---|
0 | 0 | 0 |
0 | 1 | 1 |
1 | 0 | 1 |
1 | 1 | 1 |
위와 같이 입력 값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이 되는 규칙을 OR 연산
이라고 합니다.
다음 수업에서는 단층 퍼셉트론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층 퍼셉트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퍼셉트론(Perceptron)의 출력값은 어떤 값으로 나올 수 있나요?
0 ~ 1 사이의 실수
1 또는 -1
0 또는 1
모든 실수 값
Lecture
AI Tutor
Design
Upload
Notes
Favorites
Hel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