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iewport
뷰포트(Viewport)
는 사용자가 보는 웹페이지 화면 영역을 의미하며, <meta>
태그를 사용해 HTML head 요소 내에 설정합니다.
HTML 수업에서 배운 뷰포트를 간단히 복습해 보겠습니다.
meta 태그 사용 예시
<head>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 /> </head>
위 meta 태그 코드는 웹 페이지를 모바일 및 다양한 화면 크기의 디바이스에서 어떻게 표시할지 웹 브라우저에 알려줍니다.
-
name="viewport"
은 이meta
태그가 뷰포트 설정과 관련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. -
content
속성은 뷰포트 설정을 나타내는 값들을 콤마로 구분해 나열합니다. -
width=device-width
는 페이지의 폭을 현재 기기의 화면 폭에 맞추도록 지시합니다. 즉, 화면의 가로 크기가 디바이스의 실제 폭과 일치하도록 만듭니다. -
initial-scale=1.0
는 페이지가 처음 로딩될 때의 줌 레벨을 설정합니다. -
1.0
은 100%로, 웹페이지를 화면의 폭에 맞게 정확히 표시한다는 의미입니다.
vw와 vh
vw
와 vh
는 뷰포트의 너비와 높이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입니다.
vw와 vh 단위를 사용하면 화면 크기에 따라 요소의 크기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
vw (Viewport Width)
1vw
는 뷰포트(화면) 너비의 1%를 의미합니다.
화면의 너비를 100개의 같은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었을 때, 조각의 하나의 너비가 1vw
입니다.
화면의 전체 너비가 1000px일 때, 요소의 너비를 50vw
로 설정하면, 그 요소의 너비는 500px이 됩니다.
.box { width: 50vw; /* 화면 너비의 50% */ }
vh (Viewport Height)
1vh
는 뷰포트(화면) 높이의 1%를 의미합니다.
화면의 높이를 100개의 같은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었을 때, 조각 하나의 높이가 1vh
에 해당됩니다.
화면의 전체 높이가 800px일 때, 요소의 높이를 25vh
로 설정하면, 그 요소의 높이는 200px이 됩니다.
.box { height: 25vh; /* 화면 높이의 25% */ }
다음 중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일까요?
학습 자료
AI 튜터
디자인
업로드
수업 노트
즐겨찾기
도움말